건강정보 고속도로 관련 기관
관련기관
건강정보 고속도로는 각 기관들의 유기적인 협력 및 노력을 통해 개발되고 발전합니다.
건강정보 고속도로 플랫폼을 통해 국민들에게 공공 및 민간 의료 서비스, 사회 복지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건강정보 고속도로는 여러 기관 및 사업자와 협력하여 개발하고 확장됩니다. 시스템 개발 및 확장에는 주관 정부부처인 보건복지부(MOHW), 법령과 제도 개발, 가이드라인 등 지침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관, 서비스 개발 및 구축, 확산을 위한 기관, 의료기관 및 관련 기업 등이 있습니다.
건강정보 고속도로 플랫폼을 통해 국민들에게 공공 및 민간 의료 서비스, 사회 복지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건강정보 고속도로는 여러 기관 및 사업자와 협력하여 개발하고 확장됩니다. 시스템 개발 및 확장에는 주관 정부부처인 보건복지부(MOHW), 법령과 제도 개발, 가이드라인 등 지침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관, 서비스 개발 및 구축, 확산을 위한 기관, 의료기관 및 관련 기업 등이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건강정보 고속도로를 담당하는 주요 정부부처
보건복지부는 건강정보 고속도로를 담당하는 주요 정부부처로서 건강정보 고속도로 서비스의 법적 근거 마련 및 정책 수립, 운영을 위한 전략, 지침 및 예산 지원을 담당합니다. 그리고 건강정보 고속도로 서비스의 정보 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목표와 로드맵을 설정하고 그 결과를 모니터링하며, 전략적 관점에서 건강정보 고속도로의 각 이해관계자 간 협력을 관리합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법령과 제도 개발, 가이드라인 등 지침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관
해당 기관은 건강정보 고속도로 관련 법령 제정 및 제도 개발, 활용기관 심사 가이드라인 등 지침 개발 및 심사 프로세스 운영 등을 담당합니다. 아울러 서비스의 전국 확산 및 실용화 확산을 위한 연구개발 사업도 수행하며, 건강정보 고속도로의 홍보 콘텐츠 및 운영에 대한 업무도 수행합니다.

한국보건의료정보원
서비스 개발 및 구축, 확산을 위한 기관
해당 기관은 서비스 구축 프로젝트의 계획 및 구현과 프로젝트 이해관계자 간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합니다. 또한 건강정보 고속도로 서비스 프로그램 배포를 조정 및 지원하고 사용자의 문의사항 등을 처리합니다. 또한 서비스의 유지 관리 및 기술 개발, 정보 시스템과 관련된 백업 및 지원 서비스, 국가 코드 서비스의 기술 구축 및 공동 테스트 조정을 담당합니다.

의료기관 및 관련 기업
의료정보 데이터의 보유와 전송, 건강관리서비스 개발
의료기관은 국민의 의료정보를 1차로 보유하고 있는 곳으로, 개인의 의료정보 요청시 1차적으로 자료를 제공하는 기관입니다. 제공하는 의료정보에는 수술, 투약, 처방, 진료 정보와 같은 의료정보부터 개인의 신체적 특성에 대한 정보까지 모두 포함됩니다. 관련 기업에서는 개인의 동의 하에 전송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건강관리서비스를 비롯한 건강 관련 각종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합니다.